일본 예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예술원은 1907년 문부성의 미술심사위원회로 설립되어, 일본 미술계의 전시회 개최와 질적 기준 마련을 목표로 했다. 제국미술원, 제국예술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47년 일본예술원으로 개편되었다. 회원은 미술, 문예, 음악 등 예술 전반의 대표자로 구성되며, 종신직으로 최대 120명까지 둘 수 있다. 일본예술원은 순수 학술 및 자문 기관으로 기능하며, 연례 전시회인 일본미술전람회(닛텐)를 통해 예술 작품을 선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 단체 - 국제조형예술협회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설립된 조형예술가들의 국제 단체로서, 예술가들의 권익 보호와 예술적 자유를 위해 활동한다. - 예술 단체 - 유니버설 발레단
유니버설 발레단은 대한민국 발레단으로, 매년 12월 호두까기 인형을 공연하며 국내 최장 공연 기록을 보유하고, 발레 아카데미와 발레 스쿨을 운영한다. - 우에노 공원 - 국립서양미술관
국립서양미술관은 마쓰카타 컬렉션을 중심으로 1959년 설립된 일본 유일의 서양 미술 전문 국립 기관으로,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본관에 르네상스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서양 미술품 약 4,500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중립성 논란 등의 이슈를 갖고 서양 미술을 대중에게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우에노 공원 - 도쿄도 미술관
도쿄도 미술관은 일본 최초의 공립 미술관으로, 1926년 개관하여 1975년 신관으로 이전, 2012년 재개관했으며, 연간 많은 전시회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일본 예술원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일본 예술원 |
공용어 명칭 | 日本藝術院 (일본예술원) |
문장 | 고시치노 키리 문장.svg |
![]() | |
원장 | 노무라 만 |
상위 조직 | 문화청 |
하위 조직 | 내부 부국 |
하위 조직 개요 | 제1부 미술 제2부 문예 제3부 음악・연극・무용 |
위치 | 〒110-0007 도쿄도다이토구우에노 공원 1번 30호 |
정원 | 원장 1명 및 회원 120명 이내 |
연간 예산 | 3억 3,522만 6,000엔 |
회계 연도 | 일반 회계, 2007년도 |
설치일 | 1937년 (쇼와 12년): 제국예술원 관제 제정 |
설치일 | 1947년 (쇼와 22년): 문부성 설치법 시행 |
개칭일 | 미술심사위원회 (1907년 6월) 제국미술원 (1919년 9월) 제국예술원 (1937년 6월) 일본예술원 (1947년 12월) 일본예술원 (1949년 5월) |
웹사이트 | 일본 예술원 |
참고 | |
혼동 | 일본미술원, 일본학사원 |
2. 역사
일본 예술원은 1907년 문부성(현 문부과학성)이 설치한 미술심사위원회가 그 기원이다.[3] 이는 메이지 시대 후기 일본 미술 전시회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개최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그 해 첫 번째 연례 전시회인 '분텐'이 개최되었다.
1919년 칙령에 따라 제국미술원이 설립되고, 미술심사위원회는 해체, 통합되었다. '분텐'은 '테이텐'으로 개칭되었다.[4] 1937년에는 제국예술원으로 개편,[3] '신분텐'으로 개칭.[5]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예술원으로 재편,[6] 1946년부터 일본미술전람회(닛텐)로 개칭.[5][7]
1958년 일본예술원은 순수 학술 및 자문 기관으로 재편, 일본미술전람회 주최는 비영리법인 '닛텐'으로 변경.[8]
일본예술원은 예술 분야 공적 예술가를 우대하는 명예 기관이다(일본예술원령 제1조). 회원 정원 120명, 종신제(제2조, 제4조). 도쿄도 다이토구 우에노공원 일본예술원회관에서 일본예술원상, 은사상 시상식이 거행된다.
문부과학성 설치법에 따라 설치, 문화청 특별 기관이다.
연혁:
- 1907년: 문부성 '''미술심사위원회''' 설치.[3]
- 1919년: '''제국미술원''' 창설. 미술심사위원회는 제국미술원으로 개편.[4]
- 1937년: '''제국예술원'''으로 개편.[3]
- 1947년: '''일본예술원'''으로 명칭 변경.[6]
- 1958년: 일본예술원은 순수 학술, 자문 기관, 일본미술전람회 주최는 비영리법인 '닛텐'.[8]
- 2021년: 회원 선출 방식 개정.[19]
연도 | 분과 및 정원 변화 |
---|---|
1937년 - 1946년 | 제1부(미술, 6분과, 50명), 제2부(문예, 3분과, 20명), 제3부(음악·연극·무용, 2분과, 10명) |
1946년 - 2007년 | 제1부(미술, 6분과), 제2부(문예, 3분과), 제3부(음악·연극·무용, 4분과). 정원 1961년 100명, 1961년 120명. |
2007년 - 2022년 | 제1부(미술, 6분과), 제2부(문예, 3분과), 제3부(음악·연극·무용, 7분과) |
2022년 - 현재 | 제1부(미술, 6분과), 제2부(문예, 4분과), 제3부(음악·연극·무용, 8분과) |
2. 1. 제국미술원 시대 (1919년 ~ 1937년)
1919년, 칙령에 따라 제국미술원(帝国美術院)이 설립되면서 미술심사위원회는 해체되어 제국미술원에 통합되었다.[4] 초대 원장으로는 모리 오가이가 임명되었다.[4] 미술심사위원회의 연례 전시회였던 '분텐'은 '테이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1935년에는 마쓰다 겐지 문부대신의 주도로 대규모 개편, 이른바 "마쓰다 개편"이 이루어졌다.[12] 이 개편으로 일본미술원의 요코야마 다이칸을 비롯한 재야 예술가들이 대거 영입되었다.[12] 그러나 이 개편은 회원들의 특권이었던 무감사 출품 등에 영향을 미쳐, 기존 회원들의 반발을 초래했다.[13]
제국미술원 시대의 역대 원장과 재임 기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임 기간 | |
---|---|---|
1 | 모리 오가이 | 1919년 - 1922년 (사망) |
2 | 쿠로다 세이키 | 1922년 - 1924년 (사망) |
3 | 후쿠하라 료지로 | 1924년 - 1931년 |
4 | 마사키 나오히코 | 1931년 - 1935년 |
5 | 시미즈 스미 | 1935년 - 1937년 |
2. 2. 제국예술원 시대 (1937년 ~ 1947년)
1937년, 제국예술원(帝国芸術院)으로 개편되면서,[3] 미술뿐만 아니라 문예, 음악 등 예술 전반의 대표자들이 회원으로 추가되었다. 이는 예술 전반에 걸쳐 건의 및 자문 분야를 확대하기 위한 조치였다. 같은 해 6월 24일, 제국예술원 관제가 공포(칙령)되고 새로운 회원 72명이 임명되었다.[11] 연례 전시회는 '신분텐'(新文展)으로 개칭되었다.[5]1941년 3월 27일에는 제1회 제국예술원 총회가 열렸는데, 이는 1937년 발족 이후 5년 만의 일이었다.[16] 1942년에는 비회원을 대상으로 탁월한 예술 작품 및 현저한 업적에 대해 "제국예술원상" 수여를 시작했다. 이 상은 이후 일본예술원상으로 개칭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육군 헌납 미술전(1944년 7월 15일 - 7월 31일)을 개최하는 등[17] 전쟁에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2. 3. 일본예술원 시대 (1947년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일본 제국이 멸망하면서, 미국이 일본을 점령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국예술원은 일본예술원으로 바뀌었다.[6] 1946년부터는 연례 전시회를 일본미술전람회(약칭 닛텐)로 이름을 바꾸어 개최하였다.[5][7]1958년, 일본예술원은 학술 및 자문 기관으로 재편되었고, 닛텐 전시회는 '닛텐'이라는 별도의 민간 회사가 담당하게 되었다.[8]
2021년에는 회원 선출 방식이 바뀌어,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9]
일본예술원 회원은 종신직이며, 정원은 120명 이내이다.[2] 사망으로 인해 결원이 발생하면 각 부 회원의 투표를 통해 새로운 회원이 선출된다. 모든 결원이 항상 보충되는 것은 아니다. 회원은 문화공로자보다 적은 연금(250만 엔)을 받는데, 이는 특별직 비상근 국가공무원 급여 명목으로 지급되며 과세 대상이다.
3. 회원
다음은 제국예술원 및 일본예술원 회원 명단이다.
3. 1. 회원 구성
일본 예술원 회원은 최대 120명으로 구성되며, 종신직이다.[2] 회원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제1부: 미술'''
'''제2부: 문학'''
'''제3부: 음악, 연극 및 무용'''
3. 2. 회원 선출
회원은 각 부 회원의 투표로 선출되며, 문화청이 임명하는 외부 전문가와 현 회원이 후보자를 추천하고 압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29]
3. 3. 역대 원장
4. 일본예술원상
일본예술원상은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42년 제국예술원상으로 시작되어, 전후 일본예술원상으로 개칭되었다. 수상자 중 특히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는 은사상이 수여된다. 매년 6월에 천황·황후가 임석하여 시상식이 거행된다.
5. 일본미술전람회(닛텐)
'''일본미술전람회'''(日本美術展覧會, 약칭 닛텐(日展, Nitten))는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 미술 전람회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팬과 미술평론가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 전람회는 일본화, 양화, 조각, 공예, 서예의 다섯 가지 미술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매 전람회마다 거장들의 작품과 신예 유망 작가들의 작품이 함께 전시된다.
99년 동안(다양한 명칭으로) 이 전람회는 우에노 도쿄도 미술관에서 개최되었지만, 2007년 100주년을 맞이하여 전시 장소가 롯폰기 국립신미술관으로 변경되었다.[8]
2009년 일본미술전람회 서예 부문의 심사 부정 사실이 밝혀진 후, 2013년에는 5개 부문 모두 최고상을 수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는 1958년 비영리 법인이 된 이후 최초로 수상자가 없는 해였다.[9]
6. 한국과의 비교
일본예술원은 대한민국예술원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두 기관 모두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예술가들을 회원으로 두고, 예술 창작 활동을 지원하며, 예술 관련 시상 및 전시를 주최한다.
그러나 회원 구성 및 운영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대한민국예술원은 문학, 미술, 음악, 연극·영화·무용의 4개 분과로 구성되며, 회원은 각 분과별로 25명 이내로 제한된다. 또한, 대한민국예술원은 회원 추천과 심사를 거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반면 일본예술원은 회원 투표와 외부 전문가 참여를 통해 회원을 선출한다.[18][19][20][21]
일본의 경우, 진보 성향의 예술가들이 일본예술원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일본예술원이 보수적인 성향을 띠고 있으며, 특정 유파나 파벌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비판과 관련이 있다.
한국에서도 예술원 회원 선출 과정에서 특정 대학 출신이나 특정 지역 출신이 과도하게 대표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예술계 내의 파벌주의와 학연, 지연 등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文部科学省設置法
https://www.kantei.g[...]
2020-11-23
[2]
웹사이트
【日本芸術院令】日本芸術院
https://www.geijutui[...]
2020-11-23
[3]
웹사이트
一 芸術文化の行政: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0-11-23
[4]
서적
現代日本美術界
中央美術社
[5]
웹사이트
展覧会の変遷と開催年
https://nitten.or.jp[...]
2020-11-23
[6]
웹사이트
【役割・沿革】日本芸術院
https://www.geijutui[...]
2020-11-23
[7]
서적
Kingdom of Beauty: Mingei and the Politics of Folk Art in Imperial Japan
[8]
웹사이트
日展の歴史と現在(いま)
https://nitten.or.jp[...]
2020-11-23
[9]
뉴스
Nitten cancels top prizes over fraudulent judging
http://the-japan-new[...]
Yomiuri Shimbun
2013-11-03
[10]
서적
現代日本美術界
中央美術社
[11]
웹사이트
文部科学省ホームページ 学制百年史 芸術文化の行政
https://www.mext.go.[...]
[12]
뉴스
帝国美術院の改組を閣議承認
大阪毎日新聞
1935-05-29
[13]
뉴스
反帝展の二部会が参与を拒否
東京朝日新聞
1935-12-01
[14]
뉴스
無鑑査級中堅が帝展にそっぽ
東京朝日新聞
1936-02-22
[15]
뉴스
平生文相、会員懇談会で改組試案を提示
東京朝日新聞
1936-06-05
[16]
뉴스
冬眠状態の芸術院、総会開催決まる
東京日日新聞
1941-03-15
[17]
간행물
日本美術年鑑
美術研究所
[18]
웹사이트
第5回 日本芸術院の会員選考に関する検討会議 議事次第
https://www.bunka.go[...]
[19]
뉴스
日本芸術院、改革案を了承: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07-10
[20]
웹사이트
令和3年度日本芸術院会員候補者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bunka.go[...]
[21]
뉴스
ちばてつやさん、つげ義春さんが漫画家として初めて芸術院会員に…新会員9人発表
https://www.yomiuri.[...]
2022-02-22
[22]
웹사이트
第5回 日本芸術院の会員選考に関する検討会議 議事次第 資料5
https://www.bunka.go[...]
[23]
문서
1946年まで「音楽・雅楽・能楽」、1950年まで「音楽・雅楽・能楽・演劇・舞踊」
[24]
문서
(能楽・雅楽含む)
[25]
문서
(能楽・雅楽含む)
[26]
문서
(人形劇・映画含む)
[27]
문서
(洋舞・邦舞含む)
[28]
문서
(日本画・洋画・版画含む)
[29]
문서
辞任
[30]
문서
辞任
[31]
문서
辞任
[32]
문서
辞任
[33]
문서
辞任
[34]
문서
辞任
[35]
문서
辞任
[36]
문서
辞任
[37]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38]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39]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40]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41]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42]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43]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44]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45]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46]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47]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48]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49]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50]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51]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52]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建築」、2022年以降「建築・デザイン」
[53]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54]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55]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56]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57]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58]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59]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60]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61]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62]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建築」、2022年以降「建築・デザイン」
[63]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64]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建築」、2022年以降「建築・デザイン」
[65]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洋画」、2022年以降「絵画」
[66]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67]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日本画」、2022年以降「絵画」
[68]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69]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彫塑」、2022年以降「彫刻」
[70]
문서
辞任
[71]
문서
辞任
[72]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邦楽」、2007年以降「能楽」
[73]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演劇」、2007年以降「歌舞伎」
[74]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邦楽」、2007年以降「能楽」
[75]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演劇」、2007年以降「歌舞伎」
[76]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演劇」、2007年以降「歌舞伎」
[77]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邦楽」、2007年以降「能楽」
[78]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演劇」、2007年以降「歌舞伎」
[79]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演劇」、2007年以降「歌舞伎」
[80]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邦楽」、2007年以降「能楽」
[81]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邦楽」、2007年以降「文楽」
[82]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邦楽」、2007年以降「能楽」
[83]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演劇」、2007年以降「歌舞伎」
[84]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邦楽」、2007年以降「能楽」
[85]
문서
2007年まで所属分科「演劇」、2007年以降「歌舞伎」
[86]
문서
2022年まで所属分科「演劇」、2022年以降「映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